top of page

생물학적 분류

계 : 식물계(Plantae)

문 : 속씨식물문

강 : 쌍떡잎식물강(Dicotyledoneae)

목 : 제비꽃목

과 : 제비꽃과(Violaceae)

속 : Viola violacea

크기 : 꽃자루 높이 5∼8cm

개화시기 : 6월~9월, 7월~10월,10월~4월

원산지 : 남아메리카

분포지 : 한국(진도·한라산)·일본

특징

다년초로 근경이 짧고 전체에 털이 없으나 때로 잎 표면에 잔털이 있다. 잎은 뿌리에서 총생하고 좁은 난형 또는 3각상 난형으로 길이 2~6㎝, 너비 1~3㎝이나 꽃이 진 뒤에 5㎝에 달하며 끝은 뾰족하고 밑은 심형이며 표면은 다소 윤채가 나고 때로 백색 무늬가 있으며 뒷면은 자줏빛이 돌고 가장자리에 둔한 톱니가 있으며 엽병은 길이 3~10㎝로 잎의 1~2배 길다. 꽃은 4~5월에 홍자색으로 피고 잎짬에서 길이 5~8㎝의 화경이 나와 1개씩 달리며 포는 다소 중앙 이하에 난다.

꽃은 좌우상칭으로 5수성이며 꽃받침의 부속체는 둥글고 밋밋하며 측판(側辦)에 털이 없고 순판(脣瓣)에 자색 줄이 있으며 거는 길이 5~6㎜로 다소 위로 굽는다. 과실은 삭과이다. 본종은 민둥뫼제비꽃에 비해 때로 잎 표면에 잔털이 있고 뒷면에 자색을 띠며 꽃은 홍자색이다.

건조한 숲속에서 자란다. 전체에 털이 없거나 잎 표면에만 가는 털이 있는 것도 있다. 잎은 모두 뿌리에서 나오고 달걀 모양 또는 삼각형 달걀 모양이다. 잎 표면은 짙은 녹색이지만 때로 흰 무늬가 있고 뒷면은 홍자색이며 가장자리에 둔한 톱니가 있다.

꽃은 4∼5월에 피고 짙은 홍자색이며 꽃자루 끝에 1개씩 달린다. 꽃자루는 높이 5∼8cm이고 화관 옆갈래조각에 털이 없으며, 5개의 수술과 1개의 암술이 있는 포는 가운데 이하에 달린다. 열매는 삭과로서 길이 6∼7mm이며 털이 없다. 잎 뒷면이 자주색이므로 자주잎제비꽃이라 한다. 한국(진도·한라산)·일본에 분포한다.

[네이버 지식백과] 자주잎제비꽃 -사랑(두산백과) (원색한국기준식물도감, 1996. 11. 15., 아카데미서적)

bottom of page